맨위로가기

유아사 구라헤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아사 구라헤이는 일본 제국의 관료로,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출신이다. 1898년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내무성에 들어가 오카야마현, 시즈오카현 지사를 거쳐 내무성 경보국장, 귀족원 의원을 역임했다. 관동 대지진 이후 경시총감에 임명되었으나 도라노몬 사건으로 징계면관되었다가 내무차관으로 복직하여 보통선거법 제정에 기여했다. 1925년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을 거쳐, 1933년 궁내대신, 1936년 2·26 사건 이후 내대신을 역임하며 육군의 독선적 행위에 대항했다. 제1차 고노에 내각, 히라누마 내각, 아베 노부유키 내각에서도 내대신으로 유임되었으며, 1940년 요나이 미쓰마사의 총리 임명을 주도했으나 병으로 사임했다. 같은 해 우시고메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카야마현지사 - 야스이 에이지
    일본의 관료이자 정치인인 야스이 에이지는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내무성에서 지방국장, 오사카 부지사 등을 역임하며 혁신 관료로 활동했고, 고노에 후미마로 내각에서 문부대신과 내무대신 겸 후생대신을 지냈으며, 전시에는 대정익찬회에 의한 후보자 추천제를 도입하는 등 권위주의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 시즈오카현지사 - 다케야마 유타로
    농상무성 관료 출신 정치인 다케야마 유타로는 일본 협동당 소속 중의원 의원 9선, 건설대신, 시즈오카현 지사를 지냈으며, 다고노우라항 헤드로 공해 문제 해결에 노력하고 중일 국교 회복에 기여했다.
  • 시즈오카현지사 - 아카이케 아쓰시
    아카이케 아쓰시는 내무성 관료 출신으로 시즈오카현 지사, 조선총독부 내무국장 및 경무국장, 내각 척무국 장관, 경시총감 등을 역임하고 일제강점기 조선 통치에 관여하며 귀족원 의원도 지낸 일본의 관료이다.
  • 경성제국대학 교수 - 아베 요시시게
    아베 요시시게는 일본의 철학자이자 교육자로, 칸트 철학 연구와 한국 문화 연구에 기여했으며, 전후 일본 교육 제도 개혁을 이끌고 가쿠슈인대학 총장으로 재임하며 교육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경성제국대학 교수 - 야마다 사부로
    야마다 사부로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국제사법 권위자로 한·프랑스 문화 교류에 기여한 일본의 법학자이자 관료이다.
유아사 구라헤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남작 정2위
출생일1874년 2월 1일
출생지야마구치현도요우라군(현 시모노세키시도요우라정) 우카무라
사망일1940년 12월 24일 (향년 66세)
사망지도쿄부우시고메구
소속 정당동성회
자녀1명
모교도쿄제국대학법과대학
관직
재임 시작1936년 3월 6일
재임 종료1940년 6월 1일
군주쇼와 천황
궁내대신
재임 시작1933년 2월 14일
재임 종료1936년 3월 6일
군주쇼와 천황
회계검사원장
재임 시작1929년 11월 22일
재임 종료1933년 2월 15일
군주쇼와 천황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재임 시작1925년 11월 22일
재임 종료1927년 12월 23일
군주다이쇼 천황
쇼와 천황
귀족원 의원
재임 시작1916년 10월 5일
재임 종료1929년 11월 22일
칭호 및 훈장
칭호정2위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2. 생애

야마구치현시모노세키시 출신으로, 1898년 도쿄 제국대학 법과 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같은 해 내무성에 들어갔으며, 오카야마현·시즈오카현 지사를 거쳐, 1915년 도쿄 제국대학 시절의 은사기이도 한 내무대신 이치키 기토쿠로의 추천에 의해 내무성 경보국장이 되었다. 1916년 귀족원 의원에 임명돼[9] 하라 내각의 군제 폐지에 반대론을 주창하였다.

1923년 관동 대지진이 일어나면서, 내무대신 고토 신페이의 초청에 의해 경시총감에 임명되었으나,[10] 같은 해 도라노몬 사건 (虎ノ門事件)[34]의 책임을 지고 징계면관이 되었다. 하지만 다음 해에는 징계면관에서 풀려나 내무차관으로 복직해 보통선거법 제정에 관여하였다.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시절


1925년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되었으며, 1929년 회계검사원장을 지내고, 1932년 사이토 내각 성립 시에는 일시적으로 내무대신 후보에 거론되기도 하였다.[11][12]

그 후 1933년 궁내대신이 되어 1936년에 발생한 2·26 사건에서는 위기 상황 속에서 쇼와 유신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고, 반란 장교에게 동정적인 시종무관장 혼조 시게루와는 다른 대응을 보였다.

사건 직후 살해된 사이토 마코토의 후임으로 내대신이 되었고, 내대신 재임 기간에는 노령의 원로 사이온지 긴모치를 도와 궁중 양식파의 일원으로서 육군의 독선적 행위에 대항하였다.

제1차 고노에 내각, 히라누마 내각, 아베 노부유키 내각에서도 내대신으로 유임했으며, 1940년 친미영적인 성향의 해군대신 요나이 미쓰마사의 총리 임명을 주도했으나, 그 후 병으로 사임하였다.[19] 1940년 우시고메구(牛込区)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가족

유아사 구라헤이는 1874년 2월 1일 야마구치현 도요우라군 우카(현재의 시모노세키시)에서 의사인 이시카와 고안의 차남으로 태어났다.[1] 이시카와 가문은 대대로 의사이자 마을 수장(名主) 집안이었다.[1] 1884년, 아버지가 후쿠시마현 사족(士族) 유아사 히사쓰치의 양자가 되면서 '유아사 구라헤이'로 개명하였다.[1]

형 타메노신의 지원으로 도쿄 제국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 1898년 7월 졸업하였다.[1] 같은 해 내무성에 들어갔다.[7] 오카야마현, 시즈오카현 지사를 거쳐, 1915년 도쿄 제국대학 시절 은사인 이치키 기토쿠로 내무대신의 추천으로 내무성 경보국장이 되었다.

2. 2. 관료 경력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출신으로, 1898년 도쿄 제국대학 법과 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내무성에 들어갔다.[7][8] 오카야마현·시즈오카현 지사를 거쳐, 1915년 도쿄 제국대학 시절 은사인 내무대신 이치키 기토쿠로의 추천으로 내무성 경보국장이 되었다. 1916년 귀족원 의원에 임명되어[9] 하라 내각의 군제 폐지에 반대론을 주창하였다.

1923년 관동 대지진이 일어나자, 내무대신 고토 신페이의 초청으로 경시총감에 임명되었으나,[10] 같은 해 도라노몬 사건의 책임을 지고 징계면관이 되었다. 다음 해 징계면관에서 풀려나 내무차관으로 복직해 보통선거법 제정에 관여하였다.

1925년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되었으며, 1929년 회계검사원장을 지냈다. 1932년 사이토 내각 성립 시에는 내무대신 후보로 거론되기도 하였다.[11][12]

2. 3.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재임 (1925년-1929년)

유아사 구라헤이는 1925년 사이토 마코토 조선 총독 아래에서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에 취임했다.[11][12] 1925년 12월 3일, 제5대 조선총독부 총감으로 임명되어 1927년 12월까지 경성부(京城府), 경기도(京畿道), 일제강점기 조선(현재의 서울, 대한민국)에서 근무했다.[1] 정무총감 재임 기간은 1929년까지였다.

2. 4. 궁내대신 및 내대신 재임

유아사 구라헤이는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출신으로, 1898년 도쿄 제국대학 법과 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내무성에 들어갔다.[7][8] 오카야마현·시즈오카현 지사를 거쳐, 1915년 내무대신 이치키 기토쿠로의 추천으로 내무성 경보국장이 되었다.[6] 1916년 귀족원 의원에 임명되어 하라 내각의 군제 폐지에 반대론을 주장하였다.[9]

1923년 관동 대지진 발생 후 고토 신페이 내무대신의 초청으로 경시총감에 임명되었으나,[10] 같은 해 도라노몬 사건의 책임을 지고 징계면관되었다.[34] 다음 해 내무차관으로 복직해 보통선거법 제정에 관여하였다. 1925년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되었으며,[1] 1929년 회계검사원장을 지냈다. 1932년 사이토 내각 성립 시에는 내무대신 후보로 거론되기도 하였다.[11][12]

1933년 궁내대신이 되었고,[1] 1936년 2·26 사건에서는 쇼와 유신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반란 장교에게 동정적인 혼조 시게루 시종무관장과는 다른 대응을 보였다. 사건 직후 살해된 사이토 마코토의 후임으로 내대신이 되었다.[13][14] 내대신 재임 기간에는 노령의 원로 사이온지 긴모치를 도와 궁중 양식파의 일원으로서 육군의 독선적 행위에 대항하였다.[17]

제1차 고노에 내각, 히라누마 내각, 아베 노부유키 내각에서도 내대신으로 유임했으며, 1940년 요나이 미쓰마사의 총리 임명을 주도했으나, 그 후 병으로 사임하였다.[19] 1940년 우시고메구(牛込区)에서 사망했다.[1][2]

2. 5. 사망

유아사 구라헤이는 1940년 우시고메구(牛込区)에서 사망했다. 폐기종을 앓고 있었다고 전해진다.[20] 그의 묘소는 구리야마시 선도사에 있다. 사망 직전인 12월 24일, 남작 작위를 받았으나,[20] 후계자가 여자 호주(유아사 구라헤이의 아내)였기 때문에 작위를 반납했다.[21]

3. 평가

3. 1. 한국과의 관계

4. 가족 관계

유아사 구라헤이의 장녀는 외교관이자 조선총독부 관리였던 스와 쓰토무와 결혼했다.[4] 그의 조카 유아사 다이타로는 주센도병원 원장을 역임했고, 고리야마 시립 도서관 설립에도 기여했다.[5]

5. 서훈

1916년(다이쇼 5년) 1월 19일에 훈이등 훈장[24], 같은 해 4월 1일에는 훈일등 욱일중광장[25]을 받았다. 1926년(다이쇼 15년) 11월 29일에는 훈일등 훈장을 받았으며, 1934년(쇼와 9년) 3월 9일에는 훈일등 욱일대수장을 받았다. 1940년(쇼와 15년) 6월 7일에는 훈일등 욱일동화대수장[26]을 받았다.

1930년(쇼와 5년) 12월 5일 제도복흥기념장[27], 1940년(쇼와 15년) 8월 15일 기원 2600년 축전기념장[28]을 받았다.

1933년(쇼와 8년) 3월 1일에는 정삼위[22], 1940년(쇼와 15년) 6월 1일에는 정이위[23]에 서위되었다. 1940년(쇼와 15년) 12월 24일에는 남작[29] 작위를 받았다.

1935년(쇼와 10년) 9월 21일 만주국 황제 방일 기념장[30] 수여가 허가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湯浅倉平 資料紹介 https://www.city.shi[...] 2022-11-16
[2] 웹사이트 Kanpō (December 27, 1940) https://dl.ndl.go.jp[...] 2022-11-16
[3] 웹사이트 Kanpō (February 12, 1941) https://dl.ndl.go.jp[...] 2022-11-16
[4] 서적 Taishū Jinji-roku 13 Teikoku Himitsu Tanteisha
[5] 서적 Kōriyama-shi Toshokan 45-nen no Ayumi (Shiryō-hen) Kōriyama City Central Library
[6] 일반
[7] 일반
[8]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24-05-09
[9] 일반
[10] 일반
[11] 뉴스
[12] 일반
[13] 일반
[14] 일반
[15] 일반
[16] 뉴스
[17] 서적
[18] 일반
[19] 일반
[20] 간행물 https://dl.ndl.go.jp[...]
[21] 간행물 https://dl.ndl.go.jp[...]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간행물
[30] 간행물
[31] 서적
[32] 서적 郡山市図書館 45年の歩み(資料編) 郡山市中央図書館 1992-01-01
[33] 서적 郡山市図書館 45年の歩み(資料編) 郡山市中央図書館 1992-01-01
[34]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